104주년 삼일절기념사를 윤석열 대통령이 읊었습니다. 그 내용에 의미심장함이 있습니다.
삼일절 기념사 원문
제104주년 3.1절 기념사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750만 재외동포와 독립유공자 여러분

오늘 백네 번째 3.1절을 맞이했습니다.
먼저,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께 경의를 표합니다.
독립유공자와 유가족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104년 전 3.1 만세운동은
기미독립선언서와 임시정부 헌장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민이 주인인 나라,
자유로운 민주국가를 세우기 위한
독립운동이었습니다.
새로운 변화를 갈망했던 우리가
어떠한 세상을 염원하는지를 보여주는
역사적인 날이었습니다.
그로부터 104년이 지난 오늘
우리는 세계사의 변화에 제대로 준비하지 못해
국권을 상실하고 고통받았던 우리의 과거를
되돌아봐야 합니다.
지금 세계적인 복합 위기,
북핵 위협을 비롯한 엄혹한 안보 상황,
그리고 우리 사회의 분절과 양극화의 위기를
어떻게 타개해 나갈 것인지
생각해 봐야 합니다.
우리가 변화하는 세계사의 흐름을 제대로 읽지 못하고
미래를 준비하지 못한다면
과거의 불행이 반복될 것이 자명합니다.
아울러 우리는
그 누구도 자기 당대에 독립을 상상하기도 어려웠던 시절에,
그 칠흑같이 어두운 시절에,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던진 선열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조국이 어려울 때 조국을 위해 헌신한 선열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한다면
우리에게 미래는 없습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3.1운동 이후 한 세기가 지난 지금
일본은 과거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우리와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안보와 경제, 그리고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하는
파트너가 되었습니다.
특히, 복합 위기와 심각한 북핵 위협 등
안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한미일 3자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우리는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하고 협력해서 우리와 세계시민의 자유 확대와
공동 번영에 책임있는 기여를 해야 합니다.
이것은 104년 전,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외친
우리 선열들의 그 정신과 결코 다르지 않습니다.
국민 여러분,
우리가 이룩한 지금의 번영은
자유를 지키고 확대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보편적 가치에 대한 믿음의 결과였습니다.
그 노력을 한시도 멈춰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것이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위해
희생하고 헌신하신 선열에게
제대로 보답하는 길입니다.
영광의 역사든, 부끄럽고 슬픈 역사든
역사는 잊지 말아야 합니다.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가 우리의 미래를 지키고 준비하기 위해서입니다.
우리는 조국을 위해 헌신한 선열을 기억하고
우리 역사의 불행한 과거를 되새기는 한편,
미래 번영을 위해 할 일을 생각해야 하는 날이 바로 오늘입니다.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우리 모두 기미독립선언의 정신을 계승해서
자유, 평화, 번영의 미래를
함께 만들어 갑시다.
감사합니다, 여러분.

윤석열 대통령 기념사 내용 요약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서울 중구 유관순기념관에서 열린 제104주년 **3·1절 기념식**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기념사를 하였습니다:
- "한일 양국은 아픈 과거를 딛고 '새 세상'을 향해 함께 나아가고 있다."
- "기미독립선언서는 일본을 향해 우리의 독립이 양국 모두 잘 사는 길이며, 이해와 공감을 토대로 새 세상을 열어가자고 요구했다."
- "한일 양국은 세계의 평화와 번영을 위해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 내년 한일 수교 정상화 60주년을 계기로 보다 건설적인 양국 관계로 한 단계 도약시켜 나가기를 기대한다."
- "기미독립선언의 뿌리에는 당시 세계사의 큰 흐름인 '자유주의'가 있었다. 3·1운동은 미래지향적 독립 투쟁이었다."
- "모든 독립운동의 가치가 합당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
- "어느 누구도 역사를 독점할 수 없다. 독립과 건국, 국가의 부흥에 이르기까지 선열들의 희생과 헌신이 올바르게 기억되도록 힘을 쏟겠다."
- "3·1 운동은 통일로 완결되는 것이라고 밝혔으며, 북한이 전체주의 체제와 억압 통치를 이어간다고 비판하면서 정부는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¹²³
이 기념사는 한일 관계와 독립운동의 의미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야당의 반응
여당은 자유 민주주의로 통일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윤대통령의 기념사를 추켜 세웠습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은 기미독립운동 정신에 대한 모독으로 점철됐다 라고 말했습니다.
일본과의 협력이 기미독립운동의 목적이고 정신이냐고 물었습니다.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독도 야욕을 감추지 않는 일본에 다시 한번 구애를 보냈다고 평가 했습니다.
우리에게 북한이 나쁜가 일본이 나쁜가?
우리에게 북한이 나쁜가 아니면 일본이 나쁜가?
우리는 차악으로 일본을 선택해야 할까요? 아니면 앞으로 더 좋아지기 위해 어려워도 북한과의 협력으로 가야 할 것인가요?
일본과 지금 협력하면 분단국인 우리의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는 걸까요?
북한과 어렵더라도 협력의 길로 가면 우리의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는 걸까요?
차악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지금 힘들어도 대북관계 개선이 좋은 지 국민의 선택이 남았습니다. 2024 총선이 그 대답이 됩니다.